심리학: 영아기의 특성

2024. 4. 11. 22:50심리학

 

영아기의 특성

1. 영아기의 공격성(생후 1년경)

 놀잇감을 서로 가지려고 공격적인 행동을 하여 이미 가지고 있어도 또래가 가지고 있는 놀잇감을 빼앗으려 한다. 이는 어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도구적 공격성이다. 도구적 공격성이란 어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루어지는 행동이고, 다른 사람을 해치려는 의도를 가진 행동 즉, 도구적 공격성이 보이기 시작하는 것이다.

영아기 특성

 

2. 영아기의 자아개념

 

Levine은 영아가 또래와 놀 때 내 거야라고 말하는 것은 사회적 환경 속에서 자기 자신을 정의하고 있는 것이라고 보았다. 20~28개월이 되면 자아인식을 하는 영아들이 자아인식을 하지 못하는 영아들보다 내 거야라는 말을 더 많이 한다고 하였다.

 

연령 반응
5~8개월 거울 속의 모습에 관심을 표현한다. 만져보고, 응얼거리며, 미소 짓고, 손을 흔들어 보인다. 그러나 자신의 모습뿐만 아니라 다른 아동의 모습에도 같은 반응을 보인다. 손에 장난감을 들고 있는 경우 거울에 비친 장난감을 잡으려 한다.
8~12개월 거울 속에 자신의 모습이 반영된 것임을 이해하기 시작한다. 즉, 거울을 보며 자신의 몸을 만져본다.
12~15개월 거울 속에 비친 아기의 코에 빨간 물감이 칠해져 있는 것이 바로 자신의 코에 칠해져 있는 것임을 이해한다. 거울 속의 코를 지적한다.
15~18개 이제 자신의 신체에 대한 상을 알고 사진과 비디오에 녹화해 놓은 필름에서 자신을 알아본다. 코에 빨간 물감을 친하고 거울을 보여주면 거울 속 자신의 모습을 가리키며 또 자기 코를 만진다.

 

3. 영아기의 자아통제

 

영아기 때는 자아통제가 초보적이어서 밝은 빛이 미치면 반사적으로 눈을 감으며 엄마가 많은 음식을 주면 얼굴을 돌린다. 또한 자아통제력을 갖고 있지 않아 자신이 하고 싶은 것을 즉각 하려고 한다.

 

영아기 특성
영아기 발달특성

 

4. 영아기의 사회성 발달

 

사회적 행동은 아이들이 사람과 사물을 구별하기 시작할 때 시작한다. 사람들의 목소리가 들리면 그쪽으로 고개를 돌리고 어른들의 미소에 웃으며 반응하고, 주변에 사람이 있으면 명랑해지며 손발을 움직여 기쁨을 표현한다. 생후 2~3개월의 이러한 반응은 첫 번째 사회적 행동으로 간주된다. 이런 식으로 어른들과의 사회적 반응이 먼저 시작된다. 생후 5~6개월이 되면 아기는 엄마와 다른 사람을 구별할 수 있다. 이때 '수줍음'도 나타난다. 표정도 이해할 수 있게 된다. 10개월 정도가 되면 서투른 말이 나타나기 시작하고, 1년 정도가 되면 아이들은 점차 어른들의 요구와 의도를 이해하기 시작하고 모방도 나타나게 된다. 다른 아이들에게 미소를 짓고 진드기 소리에 특별한 관심을 기울이는 등 다른 아이들과의 유대감은 약 4~5개월부터 시작된다. 6개월이 지나면 다른 사람에게 다가가거나 장난감을 놓고 싸우는 등의 반응을 보이기 시작한다. 

 

5. 영아기의 언어발달

갓 태어나서 1개월 까지 신생아는 호흡, 몸짓으로 외부와 상호작용한다. 그리고 2개월 경에는 입으로 소리를 내기시작하며 무의식 운동에 의해서 생기는 것이다. 돌발적이며 무의미하게 보이나 감정 표현의 일환으로 여길 수 있다. 

초기의 발음은 모음인지 자음인지 어떤 소리인지 분간하기 어려운 소리이지만, 먼저 모음이 나타나고,이어서 자음이 분화되어 간다. 처음에는 매우 분간하기 힘들며 부정확하지만 3~8개월경 아기들은 소리내는 즐거움을 즐기게 된다. 이 때 소리를 내어보고 소리를 들으며 기뻐하는 경험을 왕성하게 하게 된다. 그러나 아직 이러한 소리가 유아의 특정한 생각이나 사고방식과 관련 짓기는 이르다. 10~12개월 경에는 비로소 의미를 담은 언어를 표현하게 시작한다. 최초에는 형식만 단어를 나타내는 듯 하지만, 점점 의미와 맥락이 담긴 하나의 단어로서 발전해간다. 

 

6. 영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역할

아기들은 자신에게 집중하고 민감하게 반응해주며 세심하게 케어해주는 성인과 몇 개월 이상의 기간동안(대략 6개월~2년) 년) 친밀감을 형성한다. 친밀감을 형성하는 것을 애착관계를 형성했다고도 말하는데, 이러한 애착 대상을 안전기지로 활용한다. 이 안전기지를 토대로 주변을 탐색하고, 돌아와 안정을 취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따라서 이 때 부모가 안전기지의 역할을 어떻게 수행하는지, 어떠한 방식으로 아이를 대하는지에 따라 애착의 형태를 결정하는데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애착관계는 영아기 자녀의 발달과 환경에 대한 적응 수준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다음 글에서는 애착이론을 다룸으로써 영아기에 적합한 환경조성과 부모역할에 대한 생각거리를 제공하고자 한다.